반응형 10분성경156 신약성서이해 : 디도서 개관 디 도 서 (προς Τιτον) 1. 저 자 : 알 수 없음 바우어와 슈미트, 홀트만 같은 자유주의 학자들은 본서의 바울 저작설을 부정한다. 이처럼 몇몇 학자들이 본서의 바울 저작설을 부정하는 이유 중 하나는 본서를 포함한 목회서신(디모데전·후서)에 나타난 바울의 여행 기록과 사도행전에 나타난 여행 기록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서의 바울 저작설을 부정하는 자들이 내세우는 또 다른 이유는 본서에 언급된 감독이라는 이름을 도용해 기록한 후대의 저작이라는 주장이다. 2. 시 기 본서 자체에 정확한 언급이 없으므로 본서가 언제 기록되었는지 단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대개의 학자들은 바울이 마게도냐 여행 중에 디모데전서를 기록하고 이어서 본서를 기록한 것으로 추정한다. 그렇다면 본서는 바울.. 2022. 3. 18. 신약성서이해 : 디모데후서 개관 디모데후서 (προς Τιμοθεον B) 1. 저 자 : 알 수 없다 본서의 저자가 바울이라는 사실에 반대하여 이의를 제기하는 비평학자들이 있다. 그중 대표적인 자들로는 독일의 신학자 슈미트와 튀빙겐 학파의 바우어를 들 수 있다. 그들은 본서를 포함한 목회서신(디모데전서·후서, 디도서)에 나타난 바울의 여행 기록이 사도행전에 나타난 여행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본서의 바울 저작설을 의심한다. 2. 시 기 바울이 본문에서 밝히고 있는 정황에 비추어 거의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즉 바울은 본서를 기록할 때 로마 감옥에 갇혀 있었음을 본서에서 밝히고 있다(1:8,17;2:9). 그리고 로마 감옥에 갇히기 얼마 전에 바울은 드로아, 고린도, 밀레도에 갔었다고 말한다(4:13,20). 이로 볼 .. 2022. 3. 18. 불의하고 암담한 시대를 사는 그리스도인의 기도 최근 에베소서 5장 말씀을 묵상하던 중에 하게 된 기도입니다. 하나님의 진노가 불순종의 아들들에 임하나니(6절) 말씀과는 달리 불순종의 아들들이 하나님의 진노를 잘 피하는 것 같아 답답한 마음에 올린 기도입니다. 주님, 말씀대로 속히 이루소서. 에베소서 5:6-17 6.누구든지 헛된 말로 너희를 속이지 못하게 하라 이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진노가 불순종의 아들들에게 임하나니 7.그러므로 그들과 함께 하는 자가 되지 말라 8.너희가 전에는 어둠이더니 이제는 주 안에서 빛이라 빛의 자녀들처럼 행하라 9.빛의 열매는 모든 착함과 의로움과 진실함에 있느니라 10.주를 기쁘시게 할 것이 무엇인가 시험하여 보라 11.너희는 열매 없는 어둠의 일에 참여하지 말고 도리어 책망하라 12.그들이 은밀히 행하는 것들은 말하기.. 2022. 3. 18. 신약성서이해 : 디모데전서 개관 디모데전서 (προς Τιμοθεον Α) 1. 저 자 : 사도바울 본서의 저자가 바울이라는 사실에 반대하여 이의를 제기하는 비평학자들이 있다. 그중 대표적인 자들로는 독일의 신학자 슈미트와 튀빙겐 학파의 바우어를 들 수 있다. 그들은 본서를 포함한 목회서신(디모데전서·후서, 디도서)에 나타난 바울의 여행 기록이 사도행전에 나타난 여행 기록과 일치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면서 본서의 바울 저작설을 의심한다. 2. 시 기 본서의 정확한 기록 연대를 확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본서가 바울의 저작이라는 사실에 의거하여 볼 때 상당한 근사치의 기록 연대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대로 본서를 비롯하여 디모데후서 디도서에 나타나는 바울의 전도 여행 기록이 사도행전에 기록된 것과는 다른 로마 1차 투옥.. 2022. 3. 17. 신약성서이해: 갈라디아서 개관 갈라디아서(ρος Γαλατας) 1. 저 자 : 사도 바울 본서의 저자가 사도 바울이란 의견에 대해서는 별반 반대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다. 초대 교부들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본서의 바울 저작설은 별로 의심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바울은 두 차례에 걸쳐(1:1, 5:2) 자신이 본서의 저자임을 직접 밝혔을 뿐 아니라 바울의 자서전이라 불리는 본서의 내용과 바울의 행적을 객관적으로 기록한 사도행전의 기록이 완벽히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점, 그리고 본서가 바울의 다른 저작과 그 내용상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 있어서도 본서의 바울 저작설은 받아들여지고 있다. 2. 시 기 여러 가지 주장 제1차 전도여행을(47-49) 끝내고 예루살렘 종교 회의 방문(49) 후인 50, 51년경 안디옥에서 기록.. 2022. 3. 17. 신약성서이해 : 고린도후서 개관 고린도후서(προς κορινθιου Β) 1. 저 자 : 사도 바울 그 기록 배경과 내용 등 모든 면에서 고린도전서의 연속인 본서의 저자가 바울이라는 사실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먼저 저자가 자신의 본문 중에 1:1과 10:1에서 두 번이나 직접 밝히고 있으며 문체상의 여러 특징이 바울의 독특한 개성을 뚜렷이 반영하는 사실이 이를 확증해 준다. 또한, A.D.1세기 말의 로마의 클레멘트에서 A.D.3세기 초의 터툴리안에 이르기까지 여러 교부의 저작들이 본서를 바울의 저작으로 소개하고 있는 외증이 바울 저작설의 부동의 증거가 되고 있다. 2. 시 기 : 55-56년경 55년 초에 에베소에서 고린도전서를 기록한 후, 약 6개월 후인 55년 말이나 56년 초에 기록된 것으로 추정된다. 3. 기록 장소 : 마.. 2022. 3. 17.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26 다음 반응형